스마트폰은 현대 사회에서 필수품 중 하나로 자리 잡았습니다. 남녀노소 할 것 없이 모두들 스마트폰을 활용하여 일상생활을 합니다. 처음부터 스마트폰이 당연하고 편리한 사람도 있지만 처음 사용하는 사람에게는 몇 가지 낯선 용어와 개념이 있을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스마트폰을 처음 사용하시는 분들을 위해 몇 가지 기초적인 스마트폰 용어에 대해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1. 운영체제 (Operating System - OS)
스마트폰의 핵심 소프트웨어로, 안드로이드(Android)와 iOS(애플의 아이폰)가 가장 널리 사용됩니다. 운영체제는 스마트폰의 기능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어합니다. 한마디로 인간의 뇌처럼 스마트폰의 모든 기능을 관리하고 제어합니다. 안드로이드의 운영체제는 구글에서 개발하며, 여러 제조사들이 이 운영체제를 사용하여 스마트폰을 만듭니다. 대표적으로 우리나라의 대표기업 삼성에서 만든 갤럭시 스마트폰도 안드로이드의 운영체제를 사용합니다. iOS는 애플에서 개발한 운영체제로 아이폰에 사용됩니다. 운영체제는 주기적으로 업데이트되며 이는 보안 개선과 새로운 기능을 추가한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정기적인 업데이트를 확인하고 설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업데이트 : 기능을 보안 개선하거나 오류를 수정, 성능 향상을 목적으로 새로운 기능을 추가한다는 뜻, 업그레이드한다는 의미
2. 앱 App (애플리케이션 Application)
앱은 애플리케이션이라고도 부르며 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응용 프로그램입니다. 앱은 다양한 목적을 위해 만들어지며, 게임, 소셜 미디어, 은행 업무, 날씨 예보, 스마트폰 설정 관리 등 다양한 기능을 제공합니다. 앱을 설치하려면 아이폰의 경우 '앱스토어' 안드로이드 기반의 삼성 갤럭시 폰의 경우 '플레이스토어'에서 검색하고 다운로드할 수 있습니다. 스마트폰에는 기본으로 설치된 앱들이 있는데 이것 이외에도 내가 필요로 하는 기능들을 스토어에서 찾아서 스마트폰에 설치한 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앱은 무료와 유료가 있습니다.
3. 홈 화면 (Home Screen)
스마트폰을 켰을 때 나오는 화면을 홈 화면이라고 합니다. 이 화면에는 주로 사용하는 앱의 아이콘과 위젯을 내가 원하는 대로 배치할 수 있습니다. 홈 화면에 개인적으로 자주 사용하는 앱을 배치함으로 빠르게 접근할 수 있습니다. 또한 홈 화면에 스와이프하거나 확대/축소하여 다양한 앱과 정보에 빠르게 접근 할 수 있습니다. 이 화면을 자신의 스타일로 사용자 정의하여 스마트폰을 더 효과적으로 활용하세요.
* 아이콘 (Icon)
아이콘은 스마트폰 화면에 표시되는 작은 그래픽 이미지 또는 그림입니다. 이 아이콘들은 다양한 앱, 폴더, 설정등에 나타나며 터치하거나 클릭하여 해당 앱이나 기능을 실행하거나 열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카메라 앱의 아이콘을 탭 하면 카메라 앱이 실행되고, 전화기 모양의 아이콘을 탭하면 전화 다이얼이 실행됩니다.
* 위젯 (Widget)
위젯은 스마트폰 홈 화면에 배치되어 실시간 정보나 기능을 제공하는 작은 앱 조각입니다. 위젯은 단순한 아이콘과 달리, 앱을 터치해 직접 들어가지 않아도 홈화면에서 직접 정보를 표시하거나 조작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날씨 위젯은 현재 날씨 정보를 홈화면에 표시하여 바로 볼 수 있게 해 주며 달력(캘린더) 위젯은 홈화면에서 한눈에 달력을 볼 수 있게 해 줍니다. 사용자는 위젯을 홈 화면에 추가하거나 제거하여 자신의 사용 패턴대로 지정할 수 있습니다.
4. 백그라운드 앱 (Background App)
현재 화면에 보이지 않지만 실행 중인 앱을 말합니다. 백그라운드에서 실행 중인 앱은 배터리 수명을 소모할 수 있으므로 필요하지 않은 앱을 종료하거나 관리하는 것이 좋습니다. 안드로이드의 경우 하단 내비게이션 바의 줄 세 개 아이콘을 누르면 백그라운드 실행 중인 앱을 확인할 수 있고 모두 닫기를 눌러 종료할 수 있습니다.
* 갤럭시 스마트폰의 내비게이션 바(Galaxy Navigation Bar)는 삼성 갤럭시 스마트폰에서 사용되는 터치 스크린 디바이스의 하단에 위치한 가상 버튼 바입니다. 이 바에는 일반적으로 홈 버튼, 최근 실행한 앱 버튼, 뒤로 가기 버튼이 있습니다. 이러한 버튼을 터치하여 스마트폰의 다양한 기능을 제어하고 다른 앱으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
갤럭시 내비게이션 바는 스마트폰의 물리적 하드웨어 버튼 대신에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과거에는 스마트폰에 물리적인 홈 버튼이 있었지만, 현대의 갤럭시 스마트폰은 화면 하단에 터치 스크린을 사용하여 내비게이션 바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내비게이션 바는 다양한 스마트폰 모델에서 설정을 통해 사용자 정의할 수 있으며, 일부 모델에서는 제스처 제어(Gesture Control)로 대체할 수도 있습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스마트폰을 편리하게 조작하고 화면 공간을 더욱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5. 화면 잠금 (Screen Lock)
스마트폰에는 많은 개인 정보가 저장되어 있기 때문에 보안을 위해 홈화면에 진입하기 전 패턴이나 비밀번호, 핀 또는 지문인식, 얼굴 인식 등을 설정하여 다른 사람이 내 정보에 접근하는 것을 방지합니다. 최근에는 개인 정보 보안 정책이 강화됨에 따라 화면 잠금 방식이나 설정을 잊어버리게 되면 아예 스마트폰을 초기화 한 뒤에 사용할 수 있거나 소유자의 동의가 없으면 아예 사용을 못하는 등 강화된 잠금 방식이 도입되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스마트폰의 기초적인 용어와 개념을 살펴보았습니다. 스마트폰을 사용하는데 필요한 이러한 용어들을 이해하면, 스마트폰을 더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다음 포스팅에서는 더 심화된 기초용어의 주요 내용과 유용한 팁등을 다루어 보겠습니다. 스마트폰을 처음 사용하거나 기초 용어에 이해가 필요하신 분들께 해당 포스팅을 공유해 주시고 궁금한 점이나 추가로 알고 싶은 내용이 있다면 댓글로 남겨주세요. 여러분의 의견과 궁금증을 해결해 드리겠습니다. 지금까지 여러분의 모바일 활용가이드 마스터 백이었습니다.